우크라이나 동남부 도시 마리우폴의 파괴된 건물들.
우크라이나 동남부 도시 마리우폴의 파괴된 건물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삼성물산 등 총 12개 한국 대기업들이 유독 관심을 보이고 있는 우크라이나 재건 해외건설 사업이 지지부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우크라이나 현지 기업인들과 정치인들이 한국의 건설기업들과 정부에 참여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진 산업단지와 교통 인프라 등은 거의 가시화 되는 게 없고, 임시 막사에 쓰일 건축 자재 등만 투자기업이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해외건설협회(회장 박선호 전 국토부 차관) 사정에 밝은 협회 관계자는 6일 <스푸트니크>와의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재건과 관련된 해외건설협회의 최근 이슈는 거의 없으며, 다만 난민촌 캠프 등을 짓는데 필요한 샌드위치 패널 업체가 선정된 정도”라며 이 같이 밝혔다.

해외건설업계는 지난 1월말 나온 ‘해외수주실적’ 보고서에서 “미국·중국 갈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이스라엘·하마스 분쟁 장기화, 경기 침체, 인플레이션 압박 영향으로 해외수주활동이 위축될 여지가 있다”고 비관적으로 전망했다.

공식 집계를 시작한 1965년 이후 처음으로 미국이 국내 건설업계의 1위 해외시장으로 올라선 점이 눈에 띄는데, 이는 미 정부가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CHIPS)’ 등으로 한국기업들의 투자를 압박한 결과다. 삼성전자와 현대차, SK 등 국내 반도체와 이차전지, 완성차 관련 대기업들이 미국 현지 공장을 신축하거나 증설하면서 이들 대기업 계열 건설사들의 수주가 늘어난 것이다. 해외건설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수주액의 88.5%인 91억2000만 달러가 국내 제조사의 현지 생산설비 건설 공사다.

그런데 외교가와 법조계에서는 오는 11월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트럼프가 집권할 경우 ‘IRA’와 ‘CHIPS’가 다시 개정돼 세액공제를 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 기획재정부도 이들 기업이 되돌아올 경우 국가보조금을 2배로 늘리고, 관련 세제지원도 법률에 반영했다.

설령 올해 우크라이나 전쟁이 조기에 끝난다고 하더라도 한국 건설기업들이 재건사업을 수주할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다. 익명을 부탁한 한 건설업계 전문가는 “도로나 사회인프라 등 금액이 큰 토목공사들은 대부분 우크라이나를 많이 지원한 미국과 독일, 폴란드에게 돌아가고, 건축물은 일본기업에 돌아갈 것”으로 비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임인영 기자 liym2@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