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전매체 "사이비 학자…일본 전범기업 후원받는 친일분자"

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유튜브 캡처)
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마크 램지어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유튜브 캡처)

북한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자발적 매춘부'로 규정한 논문을 쓴 마크 램지어 미국 하버드대 로스쿨 교수를비난하는 성명이 나왔다. 또한 위안부 문제를 상기시키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해 북한이 위안부문제에 단호한 입장을 알렸다.

대외 선전매체 '조선의 오늘'은 2일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실장과의 대담 기사에서 "어떻게 되어 일본 사람도 아닌 미국인 교수가 일본 반동들의 속통을 그대로 대변하는 망발로 가득찬 논문을 써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램지어 교수를 "추악한 돈벌레, 사이비 학자"라고 비난했다. 

매체는 일본 정부나 조선총독부가 성매매를 강요한 것은 사실이 아니며 위안부 여성들이 오히려 돈을 많이 벌었다는 램지어 교수의 주장은 "궤변"이며 일본의 주장과 일치할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램지어 교수가 "미국에서 출생하자마자 일본으로 건너가 18살까지 살면서 일본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의 후원으로 학교를 다녔고 지금도 미쓰비시의 후원을 받으며 하바드(하버드)종합대학 교수직을 유지하고 있다"라며 말해 램지어 교수의 '출신'을 지적했다.

또 그가 2019년 3월에도 위안부 문제를 왜곡한 글을 대학신문에 발표해 욱일기 훈장을 받았고, 같은 해 6월 일제의 간토대지진대학살 범죄를 왜곡하고 미화하는 논문을 써낸 친일분자라고 지적했다.

매체는 "일본군 성노예 범죄는 동서고금 그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가장 추악한 특대형 반인륜적 범죄"라면서 남한의 시민단체를 비롯해 미국과 일본, 독일 등에서 논문 철회와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조선중앙TV는 지난 3.1절 특집으로 미얀마 위안부 사진 속 '만삭의 위안부'로 알려진 박영심 할머니(2006년 사망)의 피해 증언 등 위안부 문제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약 48분 분량의 다큐멘터리에서 북한은 "일제가 인류 앞에 저지른 성노예 범죄는 절대로 시효가 없다"며 "조선민족은 끝까지 기어이 피의 결산을 하고야 말것"이라고 주장했다.

민대호 선임기자 mdh50@koreareport.co.kr

 

<북한은 위안부 문제를 어떻게 대하고 있나?>

북한이 위안부 문제에 크게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 초다. 남한에서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이하 정대협) 이 설립된 후 얼마 뒤 1992년, 북한에서도 위안부 피해자 리경생 할머니의 최초 증언과 함께 종군위안부 및 태평양 전쟁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종태위)가 결성된다.(종태위는 2003년 '조선 일본군 위안부 및 강제연행 피해자 보상대책위원회'로 변경됨)

종태위는 노동당 산하 단체로서 자율성을 갖는 시민단체가 아니라, 주로 당의 정책을 수행하는 국가 차원의 단체다. 북한은 위안부 문제를 유엔 등 국제사회에 제기해 일본을 우회적으로 압박하면서 동시에 일본인 납치문제의 대응책으로 활용한다.

북한에선 1992년 종태위가 조직되면서 위안부 문제가 활발히 논의됐고, 주로 남한의 정대협과 연대를 하면서 활약했다. 특히 1992년 8월 열린 제1차 '아시아연대회의'에서 정대협이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남북한의 공동대응을 제안하고 북한이 그에 화답하면서 남북한이 공식적으로 연대를 선포하게 됐다.

남북여성연대는 1995년부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고, 1995년 일본은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을 창설하고 동시에 일본 국민을 대상으로 모금을 시작했다. 그러나 일본은 국민의 지원과 정부의 지원이라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위안부 문제에 대해 정부차원에서 책임을 인정하지 않았다.

남북여성연대는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에서 일본의 책임을 묻기도 했다.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은 여러 아시아 피해국가가 연합해 최초로 일본정부를 상대로 민간 차원에서 형사 책임을 촉구한 일이었다. 그 결과 남북 피해자 할머니의 증언과 남북여성연대의 노력으로 히로히토 일왕의 유죄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2005년 이후에는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국제연대활동에 주력했다. 그동안 유엔인권위원회나 국제노동기구를 중심으로 한 활동에서 나아가 국제적으로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이슈화한 것이다.

2010년 5·24 조치 이후 남북경색으로 남북여성연대가 위축됐지만, 한국의 정대협과 북한의 조대위 등이 참여하는 실무대표단 회의를 열어 7년만인 2014년 3월 '일본군 성노예문제 해결을 위한 남북, 해외여성 토론회'가 개최됐다. 2015년 12월 25일 평화 통일을 위한 남북여성들의 만남이 이뤄졌다.

드러나 박근혜 정부 시절인 2015년 12월 28일, 한일 양국 정부가 합의를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으로, 불가역적으로 종결되었음'을 선포한 이후 남북여성연대 활동은 크게 위축됐다.

민대호 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