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진쥔 주북 대사 참배와 김정은 화환 등 의미 부각
종전선언 논의 속 북중 밀착 의도적…중국의 종전선언 참여는 미지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중국군의 6.25전쟁 참전 기념일을 맞아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원에 화환을 보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6일 보도했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중국군의 6.25전쟁 참전 기념일을 맞아 평안남도 회창군에 있는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원에 화환을 보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26일 보도했다.

북한이 중국의 한국전쟁 참전 71주년을 의미 있게 기념하며 북중 간 친선을 과시했다. 최근 한미 중심의 한반도 종전선언이 논의되는 가운데 북중 우호 관계를 더욱 과시하는 행보로 풀이된다.

뉴스1은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는 평안남도 회창군 중국 인민지원군 열사능원에 화환을 보냈다고 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인용해 26일 보도했다. 앞서 리진쥔 주북 중국대사가 지난 23일 장진호 전사자들이 묻힌 묘지를 참배한 데 이어 중국의 참전 기념일의 의미를 부각하는 모습이다. 중국은 1950년 북한에 진입해 전투를 벌인 10월25일을 참전일로 기념하고 있다.  

김 총비서는 중국군 참전 70주년으로 정주년(5·10년 단위로 꺾어지는 해)이었던 지난해 10월에는 열사능원을 직접 찾아 참배하고 모택동 당시 중국 국가주석의 아들로 참전했다 사망한 모안영의 묘에 헌화했다. 김 총비서가 북한이 전승절로 기념하는 정전협정일이 아닌 중공군 참전일을 맞아 열사능을 찾은 건 당시가 처음이었다.

정주년이 아닌 올해도 북한은 관영매체 보도와 행사를 통해 북중간 우의를 과시하고 있다. 중국은 한국전쟁 참전에 대해 '항미원조(抗美援朝·미국에 맞서 북한을 도움)'라고 표현하며 이를 북중 우호의 상징적 역사로 평가하고 있으며 북한도 이를 부각하고 있다.

특히 최근 한미 중심의 종전선언이 논의되고 있는 가운데, 북중이 주요 계기 때마다 밀착 행보를 보이고 있어 주목된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달 유엔총회 연설에서 한반도 종전선언을 재차 제안한 이후 북한은 이중기준,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를 요구하며 대화 재개에는 응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종전선언 제안 이후 한미, 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연쇄적으로 진행하며 대화 동력을 살리고 있지만 '조건' 우선인 북한을 설득할 수 있을지 미지수인 상황이다.  

미국은 북한이 먼저 조건 없이 대화에 나오고, 비핵화에 대한 확신이 서야 종전선언에 동의할 수 있다는 취지로 설명하고 있다.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지난 24일 서울에서 개최된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의 협의에서 북한의 최근 잇단 미사일 발사를 '도발'로 규정하면서 북한과의 '전제조건 없는' 만남이라는 조 바이든 정부의 기본 입장을 재확인했다.

노 본부장도 전날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주최로 열린 NK포럼에서 종전선언은 "비핵화·평화를 위한 대화 프로세스의 입구'라면서 본격적인 비핵화 협상의 첫 단추가 될 것임을 시사했다. 미국은 한국의 '종전선언 입구론'에 대해 공감은 하면서도, 향후 북미 협상이나 대북제재에 영향을 미칠 상황 등은 우려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북한은 한미, 한미일의 연쇄 외교 행보를 지켜보며 추가적인 대외 입장 표출은 자제한 채 '정중동'하는 모습이다. 북한은 특히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서도 시험발사를 이어가고 있는데, 미국이 이를 '도발'로 규정하고 유엔 안보리에 회부한 것은 '이중기준 철회'라는 조건에 맞지 않아 반발할 우려가 있다. 

대외적으로 북한이 밀착하고 있는 중국의 종전선언 논의 참여 가능성도 아직 미지수다. 일각에선 내년 2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미중 정상이 모여 종전을 선언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북한의 방역 상황과 미중의 첨예한 갈등 등을 고려하면 이 역시 불투명하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체제에 대해 지지한다는 입장이지만 동시에 한미 연합훈련은 반대하는 등 미중 간 패권경쟁 속에서 한반도를 바라보고 있다는 한계도 있다. 정전협정 체결 당사자로서 중국의 종전선언 참가가 필요하다는 입장과, '정치적 합의'로 종전선언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정전협정의 틀을 그대로 따를 필요는 없다는 주장도 동시에 제기되고 있다. 

민대호 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