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언론, 탈북 외교관 보고서 인용…"임금체불에 첫 대규모 시위"
北소식통 "中 공안상 발생 어려운 사건…과장된 부분도 보여"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철도 위로 화물차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국 단둥과 북한 신의주를 연결하는 철도 위로 화물차들의 모습이 보인다.

중국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 수천명이 임금 체불에 항의하며 시위를 벌인 사건이 국내외 주목을 받고 있다.

북한 노동자들이 열악한 노동 환경에서 일하고 있고, 이들의 임금 대부분이 북한 정부로 들어간데 대해 불만을 가진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고 시위를 벌였다는 게 사건의 요체다.

반면 언론에 보도된 내용들은 중국에서 발생하기 어려운 일로 사건의 실체가 사실과 다른 측면이 있고, 과장된 부분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북한 노동자들의 시위 사건이 공개적으로 알려진 것은 지난달 중순 언론보도를 통해서다. 

우익 성향으로 분류되는 산케이신문은 지난달 19일 북한 외교관을 지내다 귀순한 고영환 통일부 장관 특별보좌역이 북한 소식통 등의 이야기를 토대로 작성한 북한 노동자 파업·폭동 관련 보고서를 받았다면서 중국 동북부 지린성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 수천 명이 이달 11일께부터 북한 당국의 임금 체불에 항의하며 여러 공장에서 파업과 폭동을 연쇄적으로 일으켰다고 보도했다.

산케이 보도에 따르면 노동자를 중국에 파견한 북한 국방성 산하 복수의 회사는 코로나19가 확산해 북한과 중국 간 왕래가 끊긴 2020년 이후 중국 측이 지급한 임금 중 북한 노동자 몫에 해당하는 금액까지 '전쟁 준비 자금' 명목으로 북한에 보냈다.

북한 회사들은 "코로나19가 진정되면 북한으로 귀국할 때 노동자가 받아야 할 돈을 한꺼번에 주겠다"고 설명했으나, 실제로는 이 돈을 본국에 송금한 상태였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 된 노동자들은 지난달 11일께부터 조업 거부를 시작했고, 파업은 지린성 내 복수의 의류 제조·수산물 가공 하청업체 공장들로 확대됐다는 것이다.

이에 김정은 정권 지도부는 이 소동을 '특대형 사건'으로 지정해 주선양 북한 총영사와 국가보위성 요원을 급파해 임금을 즉시 지불하는 조건으로 사태를 수습했고, 이에 따라 이달 15일께 시위와 폭동이 다소 진정됐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이같은 내용은 일본 요미우리신문이 17일 다시 보도하면서 눈길을 끌었다. 보도에 따르면 북한 노동자들은 북한에서 파견된 관리직 대표와 감시 요원들을 인질로 잡고 파업을 벌였으며, 그 과정에서 관리직 대표가 노동자들에게 폭행당해 숨졌다.

고영환 보좌역의 보고서에 기반한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 중국 내부 사정과 북한파견 노동자들의 근무 상황을 잘 알고 있는 단둥의 동포 소식통은 보도와는 차이나 있는 내용을 알려왔다.

소식통은 우선 북한 노동자 2천명에 이르는 대규모 시위가 5일가량 지속됐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했다. 중국 당국, 공안의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관리 감독은 철저하며, 특히 동북지역 북한 노동자에 대해서는 매우 엄격해 시위가 발생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욱이 2천명에 이르는 대규모 시위가 5일씩이나 계속되는 동안 중국 당국이 방치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북한 노동자들의 작은 소요나 일시적인 파업은 발생할 수 있지만 대규모 시위가 지속되고 북한 관리자가 사망할 정도의 폭동이 발생했다는 것은 실체 규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시위의 단초가 된 '임금체불'과 관련해 "북한 당국에 임금을 선급(先給) 형태로 지불한 중국 회사들이 과도한 노동시간을 강제하면서 노동자들이 불만을 나타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중국에 파견된 노동자들 중엔 근무 기간이 만료돼 북한으로 돌아가야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코로나 기간 동안 일을 하지 못한 것을 두고 중국과 견해차가 생겨 불만을 토로하거나 근무기간을 연장하는 문제로 중국 측과 다툼이 있었다"고 덧붙였다.

그렇더라도 2천명에 이르는 북한 노동자들이 대규모 시위를 벌여 관리자까지 사망하는 폭동이 며칠간 지속됐다는 것은 중국 공장에서 북한 인력이 근무하는 실태에 비춰 사실과 다르거나 과정된 부분이 있다는 게 소식통의 판단이다.

한편, 중국에 파견된 북한 노동자들의 폭동사건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사건을 주도한 노동자를 포함해 직간접으로 관련된 사람들이 북한에 소환돼 엄벌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소식통은 "만일 중국에서 북한 노동자들이 문제를 일으킬 경우 양국이 조용하게 해결하고 일부 책임자만 처벌받지만, 이번처럼 언론에 보도돼 국제적 관심사가 되면 폭동 주동자뿐 아니라 관련자, 심지어 가족까지 피해를 보고 중국에 남아있는 북한 노동자들은 더 힘들어진다"고 전했다.

민대호 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