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등 국제무대서 북한 인권문제 적극 제기할 듯
바이든 정부, 전방위 대북 압박 신호탄

23일(현지 시각) 미국 북한인권특사로 지명된 줄리 터너(오른쪽)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DRL) 동아시아·태평양 담당자가 지난 2017년 탈북자 지현아(왼쪽)씨와 인터뷰하던 모습.(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 페이스북)
23일(현지 시각) 미국 북한인권특사로 지명된 줄리 터너(오른쪽)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DRL) 동아시아·태평양 담당자가 지난 2017년 탈북자 지현아(왼쪽)씨와 인터뷰하던 모습.(미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 페이스북)

 

미국 정부가 6년여간 공석이었던 북한인권특사를 임명했다. 백악관은 23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무부 인권·노동국의 줄리 터너 동아시아·태평양 담당을 대사급인 북한인권특사로 지명했다고 밝혔다.

바이든 대통령이 그동안 공석이었던 북한인권특사를 이 시점에 임명한 것은 앞으로 북한 인권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겠다는 포석으로 읽힌다.

국무부의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정부의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하는 대사급 직책으로, 2004년 10월 발효된 '북한인권법'에 따라 신설됐다. 

2005년 8월 선임된 제이 레프코위츠 초대 북한인권특사는 개성공단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환경에 의문을 제기하고 북핵 6자회담과 인권문제의 연계를 주장하는 등 북한 인권상황을 정면 비판했다.

이후 미 하원 국장을 지낸 로버트 킹 특사가 오바마 행정부 시기인 2009년 1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7년여간 재임했으며 지금까지 공석이었다. 이는 당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북한 비핵화 문제를 화두로 북미 간 대화에 나섰던 상황과도 관련이 있다는 게 일반적인 평가다.

북한인권특사는 미국 상원의 인준이 필요한 자리로, 터너 지명자는 인준 후 국무부 과장직을 내려놓을 것으로 예상된다.

터너 지명자는 한국계로 알려졌다. 이날 백악관 발표에 따르면 페퍼다인대 졸업 후 메릴랜드대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한국어와 불어에 능통한 외교관이다.

터너는 국무부 인턴을 시작으로 민주주의·인권·노동국에서 16여 년 근무하면서 북한 인권문제를 주로 다뤘다. 북한인권특사 사무실 특별보좌관을 지내고 국가안보회의(NSC)에서 동남아시아 업무를 담당했다. 특히 2017년 12월 국무부 민주주의·인권·노동국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공개한 동영상 ‘인권 영웅들’에서 북한이탈주민 여성 지현아 씨와 직접 인터뷰해 눈길을 끌었다.

터너는 한미 외교에도 힘썼다. 2019년 11월 태국 방콕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에선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문재인 당시 대통령과 만날 때 배석했다. 2021년 10월 15일엔 서울에서 열린 ‘한미 민주주의 거버넌스 협의체’ 1차 회의에 미국 측 수석대표로 참여해 양국의 민주주의 및 인권 증진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

박상룡 기자 psr21@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