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관계자 "강조점 차이일 뿐…두 기관 입장 다르지 않아"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박지원 국가정보원장

1년1개월 만에 남북 통신연락선이 복구된 경위를 두고 국가정보원과 통일부가 서로 결이 다른 설명을 했다. 국정원이 "김정은 북한 조선노동당 총비서가 복원을 요청했다"고 국회에 보고하자, 통일부로부터 "통신선 복원은 남북합의에 의한 결과"란 입장이 나온 것이다.

이를 두고 두 기관 간의 '엇박자' 우려가 제기되고 있지만, 정부 관계자들은 "두 기관의 입장이 다른 건 아니다"고 설명하고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 등에 따르면 국정원은 3일 열린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지난달 27일 이뤄진 남북 간 통신선 복원은 "김 총비서가 요청한 것"이라며 "올 4월부터 정상 간 친서 교환으로 남북한의 신뢰 회복, 관계 개선 의지를 확인했고, 2018년 '4·27판문점선언'과 '9·19평양선언' 이행 여건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했다.

그러자 통일부는 이날 오후 늦게 출입기자단 공지를 통해 "남북 통신선 복원은 어느 일방이 먼저 요청한 게 아니라, 양측이 서로 충분히 협의하고 합의한 결과"라고 밝혔다.

통일부는 "남북 정상은 '4·27선언' 3주년을 계기로 여러 차례 친서를 교환하면서 신뢰회복과 남북관계 개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우선 통신연락선부터 복원하기로 합의한 것"이라고 부연했다. 남북 양측 가운데 어느 쪽이 먼저 통신선 복원을 제안했는지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이번 합의가 두 정상이 충분히 논의를 거친 결과란 데 무게를 둔 것이다.

정부 당국은 그동안에도 남북 간 합의사항에 대해선 '누가 먼저 제안을 했고, 어떤 과정을 통해 받아들였는지' 등을 상세하게 밝히지 않는 게 관례였다.

그러나 이번 통신선 복구 요청의 주체가 김 총비서란 사실이 국정원의 국회 보고를 통해 알려지자, 남북관계를 관리하는 주무부처인 통일부가 서둘러 '정리된 입장'을 내놓은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 측에서 '최고 지도자'인 김 총비서가 거명되는 걸 민감하게 여길 수 있다는 점도 의식했을 가능성이 있다.

이에 대해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도 작년부터 직간접적으로 남북 간 연락채널 재가동을 북측에 요청해왔다"며 "통신선 복원을 누가 먼저 제안했는지는 중요치 않다"고 설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남북 간 합의 결과를 놓고 누가 먼저 어떤 요청을 했는지를 밝히는 건 쉽지 않다"면서 "이번 (통신선 복원) 합의는 정상 간 친서 교환으로 이뤄진 결과다. 누군가 먼저 제안·요청했다기보다는 양측이 충분히 협의하고 합의한 것으로 보는 게 맞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다른 정부 관계자도 "(국정원과 통일부) 두 기관 간 입장이 서로 다른 게 아니다"며 "통일부 차원에선 (통신선 복구가) 남북 간 합의 사항임을 좀 더 강조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전했다.

국회 정보위 회의는 그 성격상 다른 국회 상임위와 달리 진행상황이 언론에 공개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국정원의 보고사항은 회의 종료 정보위 여야 간사들이 요약 정리해 언론에 알리며, 이 과정에서 일부 내용이 왜곡되거나 잘못 전달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이번에 여야 간사들이 언론에 전한 국정원의 정보위 보고 내용 중에선 왜곡되거나 와전된 부분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박상룡 기자 psr21@koreareport.co.kr

Tag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