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차 판매량 6.2% 감소…"르·쌍·쉐, 34.9% 줄어"
"수입차 점유율, 대수 기준 15→18.1%·금액 기준 30% 넘어"

올 상반기 4억원이 넘는 초고가 수입차 판매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반면 국산차 판매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차의 시장 점유율은 금액 기준 30%를 넘어섰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는 30일 자동차 판매현황을 분석한 '2021년 상반기 자동차 신규등록 현황분석'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올 상반기 국내 자동차 판매대수는 모두 92만4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94만8000대)보다 2.6% 줄었다.

지난해 국내 자동차 판매 대수가 역대 최대였던 것을 고려하면 최근 3년 평균 수준을 유지해 양호했으나, 수입차 점유율이 급상승하면서 업체 간 양극화가 심화됐다.

주요특징을 살펴보면 수요고급화, 양극화 심화에 따라 대형 SUV, 하이브리드차, 수입차 판매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 SUV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2.6% 증가한 20만대, 하이브리드차는 71.3% 증가한 11만3000대로 올 상반기 승용차 판매의 약 40%가 두 차종에 집중됐다.

자동차산업협회는 "수요 고급화 확대, 캠핑 등 코로나로 인한 국내 여행 증가 등에 주로 기인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국산차 판매량은 75만6000대로 6.2% 감소한 반면 수입차는 17.9% 늘어난 16만7000대로 반기 기준 역대 최대 판매를 기록했다.

국산차의 경우 현대차와 기아는 대형 SUV·하이브리드 신차 투입으로 판매량이 지난해 수준을 유지했지만, 신모델 부족 등으로 한국GM과 르노삼성·쌍용차 등 외자 3사는 34.9% 감소했다.

수입차는 4억원을 넘는 초고가 수입차 판매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최대판매를 기록했다. 시장점유율도 지난해 같은 기간 15%에서 3.1%p 상승한 18.1%로 집계됐으며, 금액으로도 30%를 넘어 역대 최대였다.

국가 브랜드별 판매는 독일계 미국계, 일본계, 중국계 순이었다. 이중 독일계가 상반기 중 약 10만4000대를 판매하며 수입차 중 1위일 뿐 아니라 내수시장 전체로도 현대차와 기아에 이은 3위에 올랐다.

미국계는 상반기 1만대를 돌파한 테슬라 전기차와 대형 SUV 판매로 일본차와 격차를 벌렸다. 일본계는 일부 업체의 국내 철수 등으로 줄어든 판매 규모를 회복하지 못하며 3위로 주저앉았다.

중국계는 전기차 전 차종 확대와 고급SUV 브랜드(볼보) 판매확대로 17.8% 늘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증가율로는 독일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연료별로는 휘발유·경유차는 감소 추세가 이어졌고, 전기동력차는 시장점유율이 약 두 배 확대되는 등 성장 속도를 냈다.
  
전기차는 수입차 위주로 시장규모가 두 배 가까이 늘어 시장점유율이 2.3%에서 4.3%로 확대됐다.

이 중 전기승용차는 2만5000대가 등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1% 증가했는데, 수입차 비중이 대수 기준으론 지난해 53%에서 올해 60%로 7%p 증가했다. 금액 기준으로는 시장점유율이 70%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승용차의 수입차 급증은 국산차와 개별소비세 부과 시점 차이,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금지 등 역차별, 전기차 보조금을 노리는 외국계 기업들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 소득양극화와 수요고급화 경향 등에 주로 기인한다고 자동차산업협회는 분석했다.

한편 전기버스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3.5% 늘어난 363대가 신규 등록했다. 중국산 비중이 35%에서 41%로 늘어났으며, 총 20여 종에 이르는 중국산의 저가공세로 평균 판매가격은 하락했다.

수소 버스는 보급사업 추진 지자체가 부족하고 지자체별 보조금 규모 차이, 전기차 대비 부족한 보조금 등으로 전기동력차 보급사업 중 속도가 가장 뒤처졌다.

정만기 KAMA 회장은 "자동차 수요의 고급화·개성화·대형화 추세 속에서 수입산 판매만 급증하는 추세는 생각해 볼 일"이라며 "국내산 판매부진은 외자 3사의 노사갈등과 신모델 투입 부족 등 기업요인에 상당부분 기인하나, 개소세 부과시점 차이와 국내 완성차업체의 중고차거래 시장 참여 금지 등 수입산 대비 국내산 역차별 등에도 일부 기인하는 점을 고려해 동등 경쟁할 수 있도록 정부가 시장여건을 개선해주는 일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상연 기자 lsy@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