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10위권 대형 항공사 탄생…"연간 3000억원 이상 시너지 기대"
"통합 시너지 위해 기업결합심사 속도 내야…가격 인상 없을 것"

인천국제공항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기가 서 있다.
인천국제공항에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기가 서 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재무위기에 봉착한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하는 승부수를 던졌다고 뉴스1이 6일 보도했다. 이른바 항공업계 '빅딜'이다.

조원태 회장은 코로나19 팬데믹에 항공업계가 초유의 위기에 처한 지난해 11월 "대한민국 항공 산업을 새롭게 세워나가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속 부담이 만만찮았지만, 세계 10위권 초대형 국적 항공사로 거듭나기 위한 베팅(betting)에 나선 것이다.

◇대한항공, 아시아나 인수 '기업결합심사' 속도 내야

그로부터 8개월이 지난 6일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는 순항 중이다.

지난달 말 대한항공은 산업은행의 확인을 거쳐 아시아나항공 인수 후 통합(PMI:Post Merger Integration) 계획안을 확정했다.

앞서 대한항공은 아시아나항공 신주인수 및 영구전환사채 인수계약을 체결하고, 실사를 진행해 올해 3월 통합 전략을 담은 PMI 계획안을 제출한 바 있다.

PMI 계획에는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저비용항공사(LCC)인 진에어와 에어부산·에어서울 등 계열 항공사의 통합방안, 공정거래법상 지주회사의 행위 제한 이슈 해소 방안, 고용유지 및 단체협약 승계 방안, 지원사업부문 효율화 방안 등이 포함됐다.

산업은행의 승인까지 넘기면서 통합을 위한 8부 능선에 도달했다는 평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기업결합심사다.

지난 1월 대한항공은 9개국에 기업결합심사 신청서를 제출해 터키와 대만, 태국으로부터 승인받았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를 비롯해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일본 등 경쟁당국은 결론을 내지 않았다.

문제는 기업결합심사가 이뤄지지 않으면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절차도 늦어진다는 점이다. 대한항공이 제3자 배정으로 아시아나항공의 신주를 인수하기 위해서는 기업결합승인이 선결조건이다.

다행히 대한항공은 꾸준히 이익을 내고 있어 버틸 만하지만, 아시아나항공의 경우는 다르다. 기업결합심사가 늦춰질수록 신주 인수대금 1조5000억원을 수혈받지 못해 막대한 이자 비용과 운영자금에 시달리고 있다.

업계는 기업결합심사가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내 항공산업 경쟁력을 보전하고 강화하는 차원에서 조속히 승인이 이뤄져야 한다는 것.

항공업계 관계자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양사의 통합과정이 지체되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경쟁력을 장담하기 어렵다"며 "항공산업의 일자리 손실, 국민들의 항공편 이용 편익 도태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만큼 대승적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포스트 코로나 대비…"하늘길 잡아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미국은 코로나19 이후 델타항공과 유나이티드항공, 아메리칸항공 등 3사에 96조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금을 지원했다. 유럽도 마찬가지다. 독일은 22조4000억원, 프랑스는 9조3000억원, 네덜란드는 4조6000억원, 영국은 2조3000억원가량을 투자했다. 일본과 싱가포르 역시 대규모 지원에 나섰다.

전 세계 각국이 일제히 항공 산업에 막대한 돈을 쏟아붓는 등 전폭적인 지원에 나선 것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주도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국내에서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핵심이다. 그동안 국내 항공업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체제에서 노선권을 나눠 가져야 해 효율적인 활용을 못했고, 1 국적사 체제를 운영하는 다른 국가들에 비해 산업 경쟁력도 떨어졌다.

앞으로 기업결합심사가 모두 완료돼 아시아나항공을 자회사로 편입한다면 시너지가 기대된다. 세계 10위권 항공사로, 규모의 경제를 통해 항공기 가격이나 임대료 협상에서도 강점을 나타낼 수 있다.

또 자산이나 IT 인프라 등 자원을 공동으로 활용해 비용 절감은 물론, 금융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기홍 대한항공 사장은 앞서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통합 시 코로나19 영향에서 완전 회복한다고 가정할 때, 추산 시너지 효과는 연간 3000억원에서 4000억원"이라면서도 "통합 시까지 적지 않은 통합비용이 소요되는 만큼, 통합 후 약 2년 이후에나 본격적인 플러스 효과가 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상연 기자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