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담화외교·미사일 발사까지…대남·대미 압박
당세포비서대회·태양절 '내치'…문 대통령 방미 주목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CNN캡처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 ⒸCNN캡처

지난 3월 남한과 미국을 향해 잇따른 말폭탄을 퍼붓고, 단거리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강경 행보를 이어오던 북한이 4월 들어 한달째 조용한 모습이다.

북한이 '침묵'을 유지하는 데는 내부 사정도 있지만 미국의 대북정책을 관망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설득력있게 제기된다. 다시말해 미국의 대북정책이 공개되면 그 내용에 따라 '행동'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다. 

◇北 3월 김여정 담화 등 '말폭탄', 미사일 발사

북한은 3월 들어 갑자기 남한을 향해 잇따라 공세를 폈다. 처음으로 미국을 향해 비난의 화살을 날리기도 했다.
 
포문은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의 여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열었다. 김여정 부부장은 16일자 노동신문을 통해 한미연합군사훈련을 강력하게 비난하는 담화를 발표했다. 
 
김 부부장은 '3년 전 봄날은 다시 돌아오기 어려울 것'이라는 담화에서 "한국 정부가 또다시 온 민족이 지켜보는 앞에서 ‘따뜻한 3월’이 아니라 ‘전쟁의 3월’, ‘위기의 3월’을 선택했다"고 주장했다.  
 
김 부부장은 대남 대화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정리, 금강산국제관광국 등 남북교류협력 관련 기구의 폐지, 더 나아가 남북군사분야합의서 파기 가능성까지 언급했다. 그리고 “임기 말기에 들어선 남조선 당국의 앞길이 무척 고통스럽고 편안치 못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런데 주목되는 김 부부장이 담화를 발표한 3월 16일이라는 시점이다. 김 부부장이 비난한 한미연합군사훈련은 이미 3월 8일 시작돼 종료일을 이틀 앞두고 있었기에 이를 타깃으로 뒤늦게 담화를 발표한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김여정 담화가 노린 것은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의 첫 방한으로 해석됐다. 미국 외교·안보의 컨트롤타워 격인 두 장과은 3월 17일의 한미 외교장관회담과 국방장관회담 그리고 18일의 한미 외교․국방장관회의(‘2+2회의’)가 예정돼 있었다.
 
김 부부장은 바이든 행정부에 대해 “앞으로 4년간 발편잠을 자고 싶은 것이 소원이라면 시작부터 멋없이 잠 설칠 일거리를 만들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는 바이든 행정부에 대한 북한의 첫 공식 입장 표명이었다.
 
김정은 총비서는 지난 1월 노동당 제8차 대회에서 ‘강대강·선대선’이란 대미 정책 기조를 밝힌 이후 단절된 북·미 및 남북관계 속에서 한반도 정세를 관망해 왔다. 
 
김 부부장이 담화에서 바이든 정부를 비난한 것은 ‘강대강·선대선’이란 대미 정책 기조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북한이 미국에 일관되게 요구해온 대북정책 변화(적대정책 철회)를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북한은 3월 25일에는 단거리 탄도미사일(신형전술유도탄)을 발사했다. 이를 두고 미국 신행정부를 겨냥해 일종의 존재감을 과시하기 위한 무력도발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와 관련 베이징의 대북 소식통은 "북의 미사일 발사는 남한과 미국을 비롯해 다른 나라에서도 훈련의 과정"이라며 "단, 그 시점에 하는 게 북에게 적합했기 때문으로 본다"고 말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2월엔 미국이 북한 접촉을 시도했고, 4월 이후엔 미국의 대북정책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3월에 미사일 발사를 했다는 설명이다.

◇4월 北의 조용한 행보…"미국의 대북정책 지켜보는 것"

북한은 대남·대미를 향한 대외 행보를 이어갔던 지난 3월과는 다르게 4월에는 대외 메시지를 전혀 내지 않고 '내치'에만 집중하고 있다. 

북한은 4월 초순 '제6차 세포비서대회'를 개최하며 당의 말단 세포단위부터 '내부결속'을 강조했다. 이 자리에는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참여하면서 주민들의 내부 기강을 다잡고 결집을 위한 메시지를 냈다.

베이징 소식통은 "북이 세포비서대회를 연 것은 바닥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것을 반영한 것"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해 가뜩이나 어려운 북의 경제난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면서 당에 대한 일반인(세포)들의 불만이 팽배해 있다"고 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김일성·김정일 시대에는 세포비서대회가 거의 없을 정도로 노동당에 대한 불만이 크지 않았지만 김정은 시대에 이르러 식량 사정이 악화되면서 세포들의 저항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세포비서 대회에 참석한 것도 민심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소식통은 "김정은이 세포비서대회에서 강조한 것은 식량과 직결된 '모내기'에 대한 것"이라면서 대남·대미 문제는 후순위 대상이라고 전했다. 

북한은 4월15일 김일성 생일인 태양절 109주년을 맞아서도 내부적으로 김일성을 추모하는 행사만 진행했을 뿐, 미국을 자극할만한 '태양절 전후 무력도발'은 감행하지 않았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은 추후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대북 정책 검토를 마친 후 공식적인 정책 발표 직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 행정부가 대북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시기인 만큼 북한의 무력 도발이나 강한 언사는 대북 정책을 조율, 마련하는 과정에서 북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북한의 움직임은 바이든 행정부가 대북정책 검토를 마친 후 공식적인 정책 발표 직전까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북한의 무력 도발이나 날선 비난은 미국이 대북 정책을 조율, 마련하는 과정에서 북측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미국이 한미정상회담을 5월 말로 예정한 것에 비춰보면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 검토는 회담 이전에 마무리 될 것으로 추정된다. 4워을 넘어서도 미국의 대북정책이 나오지 않은 것은 그만큼 바이든 정부의 고민이 크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한번에 완결된 대북정책을 발표하기보다 몇차례 북한과 접촉해 조율할 가능성도 있다. 어쩌면 이미 북한과 새로운 대북정책을 놓고 접촉을 하고 있는지도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북한은 미국이 대북정책을 공개하기까지는 무력도발 등 스스로 불리해지는 행동엔 나서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민대호 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