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미사일 속도 마하 10, 서울까지 발사 후 1분이면 도달
군 당국 "미사일 탐지 및 요격할 수 있는 능력 보유"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11일 자강도 일대에서 진행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직접 참관하고, 전용차량 안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김정은 북한 노동당 총비서가 11일 자강도 일대에서 진행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직접 참관하고, 전용차량 안에서 망원경으로 관측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갈무리)

 

북한이 잇달아 시험 발사하고 있는 탄도미사일과 극초음속미사일 등의 개발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실전 배치될 경우 현재의 방어체계로는 요격이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북한은 지난 5일 자강도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극초음속미사일’이라고 주장하는 미사일을 발사한데 이어 6일만인 11일 또다른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미사일의 비행거리는 700km 이상, 최대고도는 약 60km, 최대속도는 마하 10 내외”라며 "북한이 지난 5일에 발사한 탄도미사일보다 진전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이 미사일 발사와 관련 “발사된 미사일에서 분리된 극초음속 활공 비행전투부는 거리 600㎞ 계선에서부터 활공 재도약하며 초기 발사 방위각으로부터 목표점 방위각에로 240㎞ 강한 선회기동을 수행해 1000㎞ 수역의 설정표적을 명중했다”고 상세히 설명했다.

북한 측 주장대로라면, 발사 후 600㎞ 지점에서 약 7m 길이의 활공비행체(HGV)가 분리돼 활강 비행을 하면서 240㎞ 가량 선회기동을 했다는 것으로 요격을 피할 수 있는 극초음속 미사일의 특징을 드러낸 셈이다.

이는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한 ‘마하 10, 사거리 700Km 이상’ 내용과 비교해 사거리가 300Km 더 늘어났다. 마하 10의 속도는 북한 어느 지역에서 발사하다라도 서울에 1분 안팎이면 도달하고, 사정거리 1000Km는 남한 거의 전역이 사정권에 든다.

주목되는 것은 조선중앙통신이 “김정은 동지께서 1월 11일 국방과학원에서 진행한 극초음속미사일 시험발사를 참관했다”며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에서 연속 성공"이라고 보도한 점이다.

김정은 총비서가 미사일 시험 발사 현장을 직접 찾은 건 지난 2020년 3월 단거리 탄도미사일 시험발사 이후 661일 만이다.

특히 김 총비서가 이번 미사일 발사 참관이 확인되면서 북한의 ‘최종 시험’ 주장이 사실일 가능성도 커 보인다. 김 총비서는 집권 이후 북한의 신무기 최종완성 단계 또는 기술적 최종 확증 단계와 같은 자신의 지도력을 과시할 수 있는 결정적 순간에 직접 참관해왔다.

베이징의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북한에서 1호(김정은)가 움직인 것은 시험 성공이 확실시되기 때문"이라며 "북측 주장대로 신형 극초음속미사일 발사가 성공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전해왔다. 

김 총비서의 시험 발사 참관에 대해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일각에서 북한의 미사일 성능이 과장됐다는 평가가 나온 것에 대한 반발을 담은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분석했다. 

양무진 교수는 "첫째로는 국방력 강화에 대한 의지, 둘째는 한국과 미국에 일종의 입장 변화를 촉구하는 것, 셋째로는 최근 북한 극초음속미사일 발사를 저평가한 한국 군에 대한 반발 등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국내 전문가들은 북한 측 발표와 이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극초음속미사일 개발이 불과 1년 사이에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이 이날 발표한 1000km의 미사일 사거리는 전날 한국 합동참모본부가 발표한 약 700km와는 차이가 있는데, 비행 중 저고도로 변칙 기동을 하는 과정에서 이지스 구축함 등의 레이더에 탐지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지난 5일 발사한 미사일을 극초음속 활공체라고 주장하는 것이 사실에 근접했을 수 있다는 보고서를 내놓은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북한이 내놓은 두 번째 시험 발사 결과와 관련해 극초음속 활공체일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미사일이 계속 대기권에서 비행했고, 발표대로 최대 속도가 마하 10에 달했다면 장시간 비행으로 인한 감속을 고려해도 극초음속으로 이동했을 것이란 설명이다.

장 교수는 다만 미사일의 종류와 무관하게 북한이 한국 측 방어체계로는 요격하기 어려운 미사일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는 점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장영근 교수는 "일반적인 탄도미사일인지 극초음속미사일인지 구별하는 것보다도 현재 국내 방어체계로는 요격하기 어렵다는 점이 중요하다"며 "일반적인 탄도미사일도 탄두가 불규칙적으로 움직여서 요격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극초음속미사일도 상대방이 요격을 못하게 막겠다는 목적은 같다"고 말했다. 저고도로 날아오면 탐지 자체가 어려운 것이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도 북한 측과 한국 군이 발표한 미사일 사거리의 차이에 주목하며 이른바 ‘변칙 기동’을 시작한 부분부터는 한국 군이 탐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이어 북한의 극초음속미사일 개발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다며, 김 총비서가 오랜만에 시험 발사를 참관한 만큼 그 완성도가 상당히 높을 것으로 진단했다.

김 교수는 또 북한이 본격적으로 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리고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수순을 밟을 것이라며, 실전 배치시 한국 측이 미사일 탐지와 요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한편, 군 당국은 발사 당일인 지난 11일 북한이 이번에 쏜 미사일을 탐지 및 요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고, 대응체계를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박상룡 기자 psr21@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