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영변 핵시설을 찍은 위성사진. (출처=구글어스 이미지)
북한의 영변 핵시설을 찍은 위성사진. (출처=구글어스 이미지)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 노스’는 북한이 영변 핵 시설의 5MW(메가와트) 원자로를 가동하고 있는 흔적을 찾았다고 24일 전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과의 협상 교착이 장기화하는 상황에서 핵 활동을 노출시켜 미국을 압박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핵 능력 고도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 

미국의 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38 노스’는 상업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5MW 원자로의 발전시설에서 증기가 나오고 있고, 구룡강으로 이어지는 수로 쪽을 향한 보조 파이프에서는 물이 계속 방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발전시설 중 적어도 하나가 가동 중임을 보여준다는 분석이다.

‘38 노스’는 5MW 원자로로 연간 6㎏의 플루토늄을 생산할 수 있다면서 “이러한 신규 활동은 북한이 올해 초 8차 노동당 대회에서 발표한 추가 핵무기 개발의 야심찬 목표 달성에 플루토늄 생산 재개가 필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고 지적했다.

38 노스는 지난달 8일 5MW 원자로에서 나온 물의 방출이 간헐적으로 관찰됐다며 5MW 원자로가 계속 가동되는 정황이 있다고 전했지만 당시엔 발전시설의 증기 배출 등은 관찰되지 않았다고 했다.

국제원자력기구, IAEA의 라파엘 그로시 사무총장도 24일 IAEA 정기이사회에서 발표한 북한 핵 활동 관련 성명에서 지난 8월 보고서 제출 이후에도 영변 핵 시설에서 5MW 원자로 가동과 일치하는 징후들이 계속되고 있다고 밝혔다.

IAEA는 8월 말 발간한 연례 보고서를 통해 영변 핵 시설 내 5MW 원자로와 관련해 지난 7월 초부터 가동과 일치하는 정황들이 있다고 분석한 바 있다.

그로시 사무총장은 또 강선 단지와 평산 우라늄 광산에서도 활동 징후가 계속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통일부 관계자는 IAEA와 ‘38 노스’의 이런 분석들에 대해 “북한 핵 활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위배되는 것일 뿐 아니라 북한은 남북 정상 간, 그리고 붇-미 정상 간 싱가포르 성명 등을 통해 여러 차례 완전한 비핵화 합의를 한 바 있다”며 “비핵화 합의 정신과 유엔 안보리 결의 취지는 준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영변은 물론 다른 고농축 우라늄 시설 등 핵 시설 전반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핵 능력 고도화에 집중하는 움직임으로 분석했다.

김진아 한국외대 LD학부 교수는 영변 원자로 발전시설에서 간헐적으로 보이는 증기는 수소탄을 만드는 데 필요한 삼중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것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강선이나 평산 같은 우라늄 관련 시설과 영변의 삼중수소 생산활동을 연계시키면서 북한의 핵 능력 고도화의 일환으로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 2018년 4월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시험 발사를 중단한다는 자발적 모라토리엄을 선포한 이후 지금까지 이를 지키고 있지만 올 들어선 영변 핵 시설을 재가동하면서 핵 물질 생산을 확대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모라토리엄에 포함되지 않고, 입증이 어려운 탓에 유엔 대북제재를 적용하기 까다로운 핵 물질 생산 확대를 통해 미국을 압박하고 이를 협상력을 높이는 지렛대로 활용하려는 게 북한의 계산이라고 분석했다.

김진아 교수는 한-미 간 협의가 마무리 단계인 것으로 알려진 종전선언에 대해 북한이 추후 협상 가능성을 열어놓은 상황에서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 등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시키기 위한 협상력 제고 차원에서 이런 압박에 나서고 있다고 풀이했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지난달 19일 신형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시험발사한 이후 북한의 미사일 도발이 잠잠한 상황이라며 내년 2월 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둔 중국의 입장을 고려해 도발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원곤 교수는 북한이 미국을 향해 이중기준 철회를 계속 강조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면서 북한이 자위력 강화 차원의 정당한 주권행위임을 과시하기 위해 베이징동계올림픽과 무관하게 도발 행위를 이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미국과의 갈등이 첨예해질수록 중국의 북한에 대한 통제력이 약해질 것이라며 중국은 고강도 도발이 아닌 한 북한의 도발을 적극적으로 제지하지 않을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상연 기자 lsy@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