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문안 협의' 전해진 뒤 신중한 태도로 선 긋기

미국 백악관이 한반도 종전선언과 관련해 '서로 다른 관점'을 언급했다. 한미 간 종전선언 논의는 이제 입구 단계며, 아직 갈 길이 많이 남았다는 해석이 나온다.

제이크 설리번 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2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종전선언 논의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내용에 대해 너무 공개적으로 밝히고 싶지 않다"라고 답했다.

이어 최근 성 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가 한국을 방문해 노규덕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회담한 것에 대해 "김 대표의 최근 논의는 매우 생산적이고 건설적이었다"면서도 "우리는 각각의 조치를 위한 정확한 순서나 시기 또는 조건에 대해 다소 다른 관점을 가질 수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외교'를 통한 해법 모색이라는 점에 한미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국의 집중적인 대화는 계속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설리번 보좌관의 발언은 종전선언에 대한 한미의 논의가 꽤 심도 있게 진행 중이며, 미국이 구체적인 방향이나 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최근의 관측과는 다소 거리가 있어 보인다.

최근 한미 간 종전선언 논의의 진척 수준이 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타나기도 했지만, 미국은 일단 이러한 관측에는 선을 긋는 것으로도 풀이된다. 한미 간 관련 논의에 입장의 차이가 있음을 시사하면서도 '집중적인 대화는 계속될 것'이라고 언급함으로써 논의가 시작 단계라는 점을 강조하는 셈이다.

한미 북핵 수석대표의 꾸준한 만남 등 그간 한미가 집약된 회담으로 일정 성과를 거둔 것처럼 비친 것과 달리 논의의 속도가 느림을 방증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특히 미국은 '문안 협의'라는 보도가 나온 이후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자세로 급선회한 모습이다. 외교에서 '문안 협의'란 양측의 합의문을 도출하기 직전에 이뤄지는 단계라는 점에서 미국이 관련 보도에 부담을 느꼈을 수도 있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계속 북한에 조건 없는 대화를 촉구하지만 북한의 응답은 없는 상황에서 유독 한미만 대화에 손을 내미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최근에도 "한미는 주적이 아니다"라면서도 '자위적' 국방력 강화 방침을 주장하며 무력시위를 이어가고 있으며 한국전쟁 정전협정의 서명국 중 하나인 중국도 종전선언 논의에는 참여하지 않은 상태다.

일각에서는 아직 한미가 종전선언의 조건, 방식, 추진 과정시 문제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하는 단계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지난 주말 성 김 대표는 노 본부장과의 비공개 협의 이후 "오늘 협의에서는 한반도 정세를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며 한반도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정착을 위한 대화와 외교가 시급하다는 공통의 인식을 재확인했다"라는 원론적 수준의 입장만 밝혔다.

설리번 안보보좌관이 "각각의 조치를 위한 정확한 순서나 시기 또는 조건에 대해 다소 다른 관점이 있을 수 있다"라고 언급한 것도 한미의 종전선언 검토 수준이 '문안'이 아니라 아직 초기단계에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백민일 기자 bmi21@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