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주요 코로나19 백신 대량생산·기술도입 병행
'백신 글로벌 허브 도약' 박차…한미 연구협력 합의
빌 게이츠 세계 공중보건 증진 목표로 한국에 투자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생산 투자 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청와대
22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한 호텔에서 열린 '한미 백신 기업 파트너십 행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백신 생산 투자 협력 MOU가 진행되고 있다. 왼쪽부터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 문 대통령, 스테판 반셀 모더나 CEO,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청와대

한국이 전 세계 주요 코로나19 백신 생산은 물론, 한-미 양국 정부와 기업이 차세대 백신 개발에 협력하기로 하면서 세계 백신 생산의 허브 및 공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바이오기업은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미국 노바백스·러시아 스푸트니크V에 이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까지 생산하게 됐다. 또한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을 위한 한-미 양국 정부와 기업간 협력체계도 마련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모더나간 위탁생산계약을 포함해 국내 투자 유치 등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백신 생산 및 공급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변이주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 빌 게이츠 "한국이 백신 개발에 선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빌&멜린다게이츠재단 회장은 작년 7월 2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한국이 백신 개발에 있어 선두에 있다"고 했다. 

게이츠 회장은 서한에서  “코로나19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감명을 받았다”며 한국 정부와 재단 간 협력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국과 게이츠 재단의 협력을 보다 강화하고, 코로나 및 여타 글로벌 보건과제 대응 과정에서 문 대통령과 함께 일할 수 있기를 희망했다. 게이츠 회장이 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게이츠 회장은 “훌륭한 방역과 함께 한국이 민간 분야에서는 백신 개발 등에서 선두에 있다”고 평가하면서 “게이츠 재단이 연구개발을 지원한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할 경우 내년 6월부터 연간 2억 개의 백신을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게이츠 회장은 또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하는 ‘라이트 펀드’에 대한 출자 규모도 확대하겠다고 서한에서 밝혔다. 라이트 펀드는 2018년 보건복지부와 게이츠 재단, 국내 생명과학기업이 감염병 대응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공동 조성한 펀드로 현재 500억 원 규모다. 한국 정부가 250억 원을, 게이츠 재단이 125억 원을 출자한 이 규모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정보시대의 비전가이자 디지털시대의 거인으로 평가받는 게이츠 회장이 한국을 백신 개발의 선두로 평가한 것이나 한국 정부와 함께 세계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하는 ‘라이트 펀드’에 대한 출자하고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한 사실이다.

한국을 포함해 글로벌 제약사들이 코로나 사태를 종식할 백신의 빠른 개발을 위해 경쟁하고 있는 상황에 게이츠 회장의 발언과 한미정상회담 과정에 한국이 세계 백신 생산의 공장으로 떠오르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 한국, 세계의 백신공장으로 떠올라

국내 바이오기업이 영국 아스트라제네카(AZ)·미국 노바백스·러시아 스푸트니크V에 이어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까지 생산하게 되면서 한국이 세계의 백신 공장으로 떠올랐다.

다국적 제약사와 백신 기술 연구개발 협력에도 나서면서 국내 기업이 글로벌 무대에서 백신 생산, 제조, 개발 능력을 모두 인정받았다.

23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전날(현지시간) 삼성바이오로직스·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과 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의 백신 개발 양해각서(MOU) 등이 체결됐다.

이에 따라 정부의 '백신 투트랙 전략'에 속도가 붙고 있다. 백신을 국내에서 대량으로 위탁생산하며 당장의 수급을 안정화하면서 이 기술을 자체 개발해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대비하겠다는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위탁생산 계약으로 모더나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스푸트니크V 백신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생산되는 코로나19 백신이 됐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mRNA 백신을 자체 개발했거나 생산을 맡은 업체는 없었으며,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최초다.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백신은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스푸트니크V는 한국코러스와 휴온스가 각각 꾸린 컨소시엄에서 생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당장의 백신 공급난에 숨통이 트일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정부는 9900만명 분량의 코로나19 백신 5종을 확보했다. 제약사별 물량을 보면 화이자 3300만명분, 모더나 2000만명분, 노바백스 2000만명분,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이며, 코백스에서 1000만명분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중 얀센을 제외한 4종은 국내 생산 중이거나 생산 예정이며, 스푸트니크V와 노바백스 백신도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사전 검토 단계에 있다.

코로나19 백신 기술 자립에도 시동이 걸렸다. SK바이오사이언스와 노바백스는 코로나19와 독감을 한 번에 잡는 '결합백신'과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대응 백신 개발에 함께 나서기로 했다.

질병관리청 소속 국립보건연구원은 모더나와 mRNA 백신 연구 협력을 하기로 했다. 모더나는 백신 연구 프로그램 개발, 비(非)임상 및 임상 연구 수행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mRNA 플랫폼 방식으로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에 진입한 업체가 없는 상황에서, 이번 한미 백신 파트너십으로 국산 mRNA 플랫폼 기술 개발의 활로가 열린 것이다.

최근 한미약품그룹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등 업체 10곳이 mRNA 백신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국내 업체들도 개발 의지를 보이고 있다.

◇ 한미, 코로나백신 위탁생산 넘어 연구협력도

한국의 글로벌 백신 허브 도약을 위한 한-미 양국 정부와 기업간 협력체계가 마련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모더나간 위탁생산계약을 포함해 국내 투자 유치 등 코로나19 백신의 글로벌 백신 생산 및 공급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미국 노바백스와 코로나19 변이주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이를 실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과학자, 전문가, 공무원으로 구성된 '한미 글로벌 백신 파트너십 전문가 그룹(KORUS Global Vaccine Partnership Experts Group)'을 설치한다.

보건복지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 위치한 윌라드 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정부 및 한미 양국 기업간 총 4건의 계약 및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진행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모더나는 코로나19 백신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모더나 사의 코로나19 백신 원액을 완제 충전하는 방식으로 수억 도즈 분량을 생산해 전세계에 공급한다. 기술 이전 및 시험 생산 등을 거쳐 올해 3분기부터 대량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와 기업간 협력도 도모한다. 산자부 및 복지부, 모더나는 모더나의 잠재적인 한국 투자 및 생산 관련 논의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맺었다. 모더나가 한국에 mRNA 백신 생산 시설 투자와 한국의 인력 채용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복지부는 복지부-SK바이오사이언스-노바백스간 코로나19 백신 개발과 생산 양해각서도 체결했다. 변이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차세대 백신 개발에 협력할 예정이다. SK바이오사이언스 생산시설을 이용한 백신의 안정적 생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질병관리청 소속 국립보건연구원은 모더나와 mRNA 백신 관련 연구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구체적으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와 결핵 등 우리나라에서 수요가 높고 질병 부담이 높은 감염병 대응을 위해 mRNA 백신 연구 프로그램 개발, 비임상·임상 연구 수행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오동윤 기자 ohdy@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