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평가 43%, 작년 2월말 41% '최저치' 근접
AZ 백신 등 혈전논란·각국 백신확보 경쟁에 공급 물음표

23일 서울의 한 예방접종센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3일 서울의 한 예방접종센터가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800명대에 육박하고, 백신 확보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여론도 좋지 않아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긍정평가(43%)가 지난해 2월 말(41%) 수준으로 급락했다. 대구·경북 신천지 교회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확산하던 최악의 수준에 근접한 것. 정부가 자랑으로 내세우던 'K-방역'이 시험대에 오른 셈이다.

24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20~22일 전국 18세 이상 100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조사 결과,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에 대한 긍정 평가는 43%, 부정 평가는 49%로 집계됐다.

지난달 조사(3월18일)와 비교할 때, 긍정평가는 60%에서 43%로 17%포인트(p) 급락했고, 부정평가는 27%에서 49%로 치솟았다. 긍정률 43%는 대구 신천지 교회를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하던 지난해 2월 말 조사(41%) 이후 1년 2개월 만에 최저치다.

코로나19 정부 대응 평가에서 부정률이 긍정률을 앞선 것도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조사에서는 긍정률 41%, 부정률 51%였다.

정부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의 55%가 백신 확보·공급을 그 이유로 꼽았다. 이어 '초기 대응 잘못/초기 입국 억제 미흡'(8%), '방역/확산 억제 못함'(6%), '거리두기 단계 부적절/모호함'(5%), '백신 안전성 문제', '규제 약함/느슨함/미흡'(이상 4%) 등을 언급했다.

백신 확보·공급을 지적한 비율은 지난달 22%에서 33%p나 증가했다.백신 문제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그만큼 심각한 셈이다.

지역별로 '광주/호남'(69%)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부정평가가 긍정평가보다 많거나 같았다. 연령별로는 백신 접종의 직접 대상이 되는 고령층에서 불안감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부터 40대까지는 긍정평가가 더 많았으나, 50대(36%-56%)와 60대 이상(30%-60%)에서는 역전 현상이 일어났다.

정치 성향별로도 진보층(69%-24%)에서만 긍정평가가 더 많았고, 중도(37%-54%)와 보수(25%-70%)에서는 부정평가가 월등했다.

백신 확보에 대한 불안감은 우선 각국이 경쟁적으로 백신 확보에 나서면서 우리가 계약한 물량 7900만명분을 계획대로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졌기 때문이다. 정부가 현재까지 확보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 분 △화이자 1300만명분 △노바백스 2000만명분 △얀센 600만명분 △모더나 2000만명분 △국제백신공급기구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 1000만명분(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 백신)이다.

하지만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경우 혈전 논란이 발생하면서 불신이 커졌다. 아스트라제네카(영국)를 제외한 백신 4종은 모두 미국산 백신인데, 미국은 인접국가인 멕시코와 캐나다, '쿼드(Quad, 미국·인도·일본·호주 4개국 협의체)국가'에 백신을 우선 공급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쳤다.

특히 화이자·모더나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얀센 백신과 달리 혈전 관련 논란이 불거지지 않아 신뢰도가 더 높은 상황에서 관련 백신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는 요구가 크다. 다만 정부는 상반기 1200만명 백신 접종과 11월 집단면역 형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입장과 별개로 백신을 추가로 확보해야 한다는 여론에 부응해 관련 노력을 하고 있다. 정의용 외교부 장관은 최근 미국의 잔여 백신을 먼저 공급받고 차후에 우리나라가 확보한 백신을 미국에 전달하는 이른바 '백신 스와프'를 미국 측과 협의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 등 유럽에서 수입한다고 밝힌 러시아산 백신 '스푸트니크 V'와 관련해 차후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가능성을 점검하라고 지시했다.

이런 정부의 노력이 현실화되기 전까지 현재 백신 수급에 대한 국민적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의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동윤 기자 ohdy@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