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신 유실 여부도 불확실…북한의 추가 정보 필요

서해에서 실종됐다 북한 해역으로 들어가 피격 사망한 공무원 A씨의 사건과 관련한 핵심 쟁점은 A씨 시신의 훼손 여부다. 

지난 23일 이번 사건이 처음 불거진 뒤 나온 우리 군 당국의 첫 발표에 따르면 북한군은 A씨를 사살한 뒤 시신을 불태웠다. 군은 이 같은 발표 내용이 감청 등 북한에 대한 감시자산으로 확보한 첩보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북한의 첫 관련 입장은 이와 달랐다. 북한은 지난 25일 우리 측에 보낸 통일전선부 명의의 통지문에서 A씨를 사살한 것은 사실상 인정했으나 사살 직후 시신이 유실됐다고 밝혔다.

우리 군이 A씨 시신이 불태워진 정황으로 밝힌 불꽃의 정체에 대해서도 북한은 A씨가 사라진 뒤 남은 부유물을 태운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북의 조사 결과가 이 같이 차이가 나는 상황에서 결국 정확한 사실 관계 파악을 위해서는 A씨의 시신을 확보하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A씨의 시신이 유실됐다는 것에 남북의 입장이 모아진 상태다. 실제 남북은 모두 해상에서 시신 탐색을 위한 수색을 진행 중이다. 

다만 북한이 밝힌 입장에 대한 사실 여부와 북한의 이후 동향의 의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북한이 A씨의 시신을 훼손했음에도 일부러 관련 사실을 밝히지 않고 숨기려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시신 훼손이 사실일 경우 국제법 상에도 문제가 되는 파장이 일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사실 여부가 명확하게 확인되지 않지만 북한군이 A씨의 시신을 훼손할 것을 지시했으며 우리 군이 감청으로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는 보도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A씨 시신의 유실을 주장하고 수색까지 진행하고 있는 것은 이미 시신이 발견되지 않을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는 의혹도 제기한다.

하지만 북한이 이례적으로 선제적인 관련 경위와 최고지도자 명의의 '사과'까지 한 것을 두고 다른 해석을 제기하는 시각도 있다.

우리 측과 미군의 감시자산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북한이 관련 사실을 숨기기 위해 선제적 대응을 했다는 것은 '도박'에 가까운 행보라는 분석이다.

현재 상황에는 A씨의 시신 처리에 대해 한미 감시자산이 파악한 정보도 다소 불명확하고, 우리 측의 분석도 재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북한이 입장을 밝힌 25일만 해도 북한 역시 이에 대해 단정하긴 부족한 상황이었다.

또 이번 사안을 앞두고 남북 정상이 개인적 안위를 묻는 친서를 교환하고, 북미 물밑 접촉과 한미 간 밀착 대화가 전개되는 등 대화 가능성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북한이 '무리수'를 두진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덧붙여진다.

정부는 A씨의 시신을 찾는 여부와 무관하게 수색이 종결될 때까지 최종적인 판단을 보류할 것으로 보인다.

현시점에서 변수는 북한이 추가적인 입장이나 정보를 밝힐지 여부다. 

북한은 지난 27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시신 수색 과정에서 우리 군이 자신들의 영해를 침범했다고 주장하며 더 이상 침범하지 말 것을 주장한 뒤 추가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일각에서는 남북이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간 이른바 '비선 라인'을 가동하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한다. 북한이 공개적으로는 상황 관련 언급을 자제하면서도 남북 간 분위기를 완전히 해치지는 않으려 할 것이라는 취지에서다.

남북은 모두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시신 수색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사안의 중대성을 감안해 시신 수색에 성과가 있을 경우 연휴 기간 동안이라도 즉각적인 발표가 나올 가능성이 커 보인다. 

민대호 선임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