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응하다 '사과'도 '경고'도 신속 응답…대남관리
美 대선 전 남북미 관계 관리 필요성 인식했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노동신문 캡처)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노동신문 캡처)

북한이 최근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 피격 사건과 관련해 발 빠른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 6월 대남 적대 행동 보류 이후 남한의 대북 손짓에 관심이 없던 북한이 해당 사안에 대해선 민첩하게 반응하고 있어 주목된다.

지난 21일 서해 소연평도 인근에서 실종된 공무원 A씨는 이튿날 북한 해역에서 초병에게 발견돼 6시간 후 사살됐다. 우리 정부는 24일 "어떤 이유로도 용납될 수 없다"라며 "북한 당국은 책임 있는 답변과 조치를 취해야 한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부가 요구가 있은 지 바로 다음 날 북한의 통지문이 청와대에 도착했다. 북한은 비교적 사건 경위와 함께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이례적인 '사과'를 전했다.

북한의 빠른 대응은 여기서 멈추지 않았다. 지난 26일 남측에서 추가 조사와 남북 공동조사에 대한 논의가 나오자 북한은 다음날 곧바로 입장을 발표했다.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7일 "서남해상과 서부해안 전 지역에서 수색을 조직하고 시신을 습득하는 경우 관례대로 남측에 넘겨줄 절차와 방법까지도 생각해두고 있다"라며 해당 사안에 대한 대응 방식을 예고했다.

이어 "우리는 남측이 자기 영해에서 그 어떤 수색 작전을 벌이든 개의치 않는다"라며 "그러나 우리측 영해 침범은 절대로 간과할 수 없으며 이에 대하여 엄중히 경고한다"라고 추가 조사나 남북 공동조사 등에는 분명히 선을 긋기도 했다.

북한이 남한의 발표에 무대응으로 일관하지 않고 비교적 빠르게 대응한 것은 일단 남북 관계에 고무적인 부분이다. 북한은 지난 6월 대북 전단 살포를 문제 삼아 전개한 '대적 사업' 이후 남북 간 모든 연락선을 차단하고 대남 무대응 기조를 이어온 바 있다.

다만 남한의 영해 침범을 경고하고 공동조사도 사실상 거부한 셈이라 남북 대화가 지속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일각에서는 거절의 뜻이더라도 북한이 하루 만에 우리 측 요구에 반응한 것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대남관리를 이어가겠다는 의도로 보인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북한의 최근 대응은 문재인 대통령의 친서 등 우리 정부가 보낸 대북정책에 대한 반응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베이징의 정통한 대북 소식통은 "남한에서 북과의 대화를 바라며 무언가 제시한 것으로 알고있다"며 "북이 그것에 대해 반응한 결과라고 보인다"고 전해왔다.

하지만 소식통은 우리 측이 북한에 제시한 '무엇'에 대해서는 "추정할뿐"이라며 구체적인 답을 하지 않았다.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의 대응이 점차 많아질 것이지만 당 창건 75주년 기념일(10월 10일) 행사와 미국 대선(11월 3일)이 변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연 1년 넘게 굳게 닫힌 남북관계에 청싱호가 켜질지 주목된다.

민대호 선임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