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농촌 지역, 다세대 형태 통상적
"민심 달래기 목적…선전마을 활용될 수도"

북한 노동신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을 찾아 복구 상황을 현지지도 했다고 12일 보도했다. 사진은 황해북도 은파군 복구현장. (사진=노동신문 캡쳐)
북한 노동신문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수해현장을 찾아 복구 상황을 현지지도 했다고 12일 보도했다. 사진은 황해북도 은파군 복구현장. (사진=노동신문 캡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은파군 대청리 일대에 건설자재나 부지 절약 등을 고려하지 말고 '1동 1세대' 주택을 건설할 것을 지시했다. 남한에선 일반적인 한 주택 한 가구가 북한에선 특별 지시에 따라 지어진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지난 12일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김 위원장이 수해 복구 점검을 위해 은파군 대청리를 다시 찾았다고 전하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살림집(주택)을 1동 1세대로 지어주라고 지시를 주고 설계안을 비준해주었는데 그렇게 하기 정말 잘하였다"라며 "농장원들의 요구에 맞고 농장원들이 좋다고 해야 많은 품을 들여 새로 건설한 보람도 크다"라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사실 북한의 농촌 지역에서 1동 1세대 주택은 상당히 이례적인 형태다. 주로 1동 다세대라고 불리는 연립주택 하나에 여러 가구가 함께 사는 것이 보통이다. 가로로 긴 집에 하모니카처럼 문이 여러 개 뚫려 있어 '하모니카 주택'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다세대 주택은 내부의 벽을 세워 각 가구의 생활권을 나눈다. 세대 수는 건물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데 많게는 7가구가 한집에서 사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북한이 이러한 다세대 주택을 선호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이점도 있겠지만 주민 간 상호 감시에 용이한 형태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12일 공개된 은파군 대청리의 주택들은 기존 북한의 주택과는 확연히 다르다. 일자형으로 길게 늘어진 기존의 다세대 주택과는 달리 커다란 지붕을 중심으로 한쪽으로만 늘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다만 북한 농촌 지역에서의 주택 건축 기조가 1동 1세대로 바뀐 것은 아닌 듯하다. 지난 15일 공개된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의 주택들 역시 이번 수해 복구 사업을 통해 건설됐지만 1동 2세대 건물 양식을 띠고 있기 때문이다.

강동완 동아대학교 부산하나센터 교수는 1동 1세대 주택 건설 지시를 두고 "민심 달래기의 목적으로 볼 수 있다"라며 "여전히 북한 시골 마을의 전형적인 주거 형태는 1동 다세대 양식"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양식이 전국으로 확대될 수 있냐는 질문에는 "은파군에만 따로 지시한 것이니 특별한 은덕을 입은 것으로 봐야 할 것"이라며 "은파군 대청리가 선전마을이나 시범마을로 활용될 수 있다"라고 내다봤다. 

민대호 선임기자 mdh50@koreareport.co.kr

SNS 기사보내기
기사제보
저작권자 © 코리아리포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